(보도 설명자료) 환경부 흡입독성 시스템 신뢰성 바닥
|
|||
---|---|---|---|
2020년 2월 17일 환경일보에 보도된 ‘환경부 흡입독성 시스템 신뢰성 바닥’ 기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 보도내용 ○ 환경부가 작년 연말 흡입독성 시제품 테스트에 합의했음에도 정작 전문가 성능평가 기준이 모호해 부실하게 평가가 이뤄진 점이 있으나 이에 대해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이 침묵으로 일관 ○ 업체 셀프평가 결과 실제 측정 데이터와 평가 데이터 불일치 □ 설명내용 ○ 흡입독성 시제품에 대한 성능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이 3회의 전문가 검토과정을 거쳐 최종 확정 - 2019.09.24. : 국회 및 환경부에서 추천한 전문가 4명 등이 참석한 전문가 회의 - 2019.11.11. : 국회,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및 한국환경공단 관계자가 참석한 회의 - 2019.11.20. : 국회 및 환경부에서 추천한 전문가 3명 등이 참석한 1차 시제품 성능평가회의 ○ 흡입독성 시제품에 대한 2차 성능평가회의 발표자료에 일부 오기가 있었으나 오기가 있었던 자동입자계수기(OPC 등) 측정 데이터는 성능평가와 직접적인 관련성 없음 - 흡입독성 시제품에 대한 성능평가는 필터를 이용한 중량법으로 측정한 질량농도를 토대로 이루어지며 이와 관련된 데이터에는 오기가 없었음 - 다만,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자동입자계수기(OPC 등)로 측정한 데이터는 기초자료를 편집해서 발표자료로 옮기는 과정에서 일부 오기 발생 ○ 흡입독성 시제품 성능평가 결과에 대해 국회 및 환경부에서 추천한 전문가 7명 중 6명이 본 제품 제작 적합의견 제시 - 시제품에 대한 성능평가는 중량법으로 측정한 질량농도를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전문가들도 이를 토대로 의견 제시 ○ 본 제품에 대한 성능평가는 시제품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2차 본 제품 성능평가회의에 참석한 전문가 5명 중 4명이 과업내용서 상의 요구성능에 충족한다는 의견 제시 - 2020.01.22. : 국회 및 환경부에서 추천한 전문가 4명 등이 참석한 1차 본 제품 성능평가회의 - 2020.02.13. : 전문가 5명 등이 참석한 2차 본 제품 성능평가회의 |
이전글 | (보도 해명자료) VPN장비의 선정은 데이터 수집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우선 고려하여 선정한 것임 |
---|---|
다음글 | (보도 설명자료) 뿌리 깊은 발주처 갑질 중소건설사, 枯死 위기 |
메뉴담당자
최종수정일 : 2024-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