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서부환경본부

자연과 인간을 위한 건강하고 행복한 환경조성을 위해 앞장서겠습니다.

수생태 환경기초시설

수생태 환경기초시설 전경

환경과 개발의 상생,
고농도 수질오염물질 적정처리를 위한 수생태 환경기초시설 설치

우리 공단은 환경과 개발이 상생을 이루는 지속가능한 지역환경 조성을 위해 수생태 환경기초시설 설치지원 및 정책지원 사업을 수행합니다.
산업폐수, 가축분뇨, 사고유출수 등 고농도 수질오염물질을 수생태 환경기초시설을 통해 깨끗한
물로 정화하여 공공수역 수질개선에 기여합니다.

공공폐수처리시설

사업개요
정의
  • 공공폐수처리시설은 공공폐수처리구역의 폐수를 처리하여 공공수역에 배출하기 위한 처리시설과 이를 보완하는 시설 (물환경보전법 제2조 17항)
국고지원율
  • 83년도부터 공공폐수처리시설 국고 지원
  • 산업단지 : 국고 70%(수도권 50%)
  • 농공단지 : 국고 50~100%
    (일반 50, 추가지원 70, 우선지원 100)
재정지원 목록
  • 입주업체의 폐수처리 비용부담으로 인하여 생산활동과 투자의욕이 위축되지 않도록 공공폐수처리시설 설치지원
사업현황
정책지원
  • 공공폐수처리시설 기본계획(물환경보전법 제65조 제3항)
  • 공공폐수처리시설 기본 및 실시설계(물환경보전법 제69조 제3항)
  • 공공폐수처리시설 별도배출허용기준 검토(물환경보전법 제32조)
  • 폐수무방류배출시설(물환경보전법 제 33조)
  • 설치사업 국고정산, 관련 법령ㆍ지침 개정 지원 등
설치사업
  • 공공폐수처리시설 위ㆍ수탁 설치사업수행 (10건 수행 중)
    공공폐수처리시설 위ㆍ수탁 설치사업수행 (10건 수행 중) - 사업명, 사업비, 추진현황 정보를 제공합니다.
    사업명 사업비(백만원) 추진현황
    연천 BIX 13,900 공사중
    세종 조치원 9,723 공사중
    여수국가산단(중흥, 4단계증설) 67,649 공사중(우선시공분)
    밀양 나노 융합 17,311 공사중
    파주법원폐수 연계 및 문산 총인 10,692 공사중
    평택 브레인시티(1단계) 37,121 공사중
    여수 노후폐수관로 정비 47,613 공사중
    여수 대기오염 방지개선 5,402 공사중
    진주상평 노후폐수관로 정비 43.256 공사중(우선시공분)
    달성 노후폐수관로 정비 32,785 설계중

완충저류시설

사업개요
완충저류시설의 정의
  • 공공지역 또는 산업단지 내 사고 및 화재 등으로 인한 사고유출수 및 초기우수를 저류하기 위한 시설
추진현황
  • '91년~'94년 : 낙동강 페놀 오염 및 유기용제 사고 등
  • '02년 : 낙동강수계 산업단지 내 완충저류조 설치 의무화
  • '02년~'16년 : 낙동강수계 완충저류시설 설치{17개소 설치(공단) 및 운영중}
  • '14년 : 완충저류시설 설치 대상지역을 낙동강수계에서 전국으로 확대 (물환경보전법 제21조의4신설)
  • '15년~ : 로드맵을 마련하여 우선순위 등에 따라 설치ㆍ운영
사고 유출수 차단 및 처리: 산업단지 내에서 화재나 폭발 등으로 유해 물질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오염된 유출수가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완충저류시설로 유도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합니다. 이렇게 저장된 오염수는 공공폐수처리시설로 보내져 처리됩니다. 비점오염원 관리: 초기 우수 등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질 오염을 예방합니다. 수질 오염 사고 예방: 사고 발생 시 유해 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하천의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생태계를 보호하며,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기여합니다.
사업현황
정책지원
  • 완충저류시설 설치ㆍ운영관리 계획(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30조의4)
  • 기본 및 실시설계, 관련 법령ㆍ지침 개정 지원 등
설치사업
  • 낙동강수계 17개 사업(함안칠서 완충저류시설 등) 완료
  • 완충저류시설 위ㆍ수탁 설치사업 수행(12건 수행 중)
완충저류시설 설치사업의 사업명, 사업비, 추진현황 정보를 제공합니다.
사업명 사업비 추진현황
대전산단 24,441백만원 설계용역 중지
청주오창과학산단 39,537백만원 공사 발주 예정
양산일반산단 21,499백만원 설계용역 중지
음성대풍산단 8,803백만원 설계용역 중지
충주1~4산단 30,568백만원 설계 중
밀양나노융합국가산단 16,062백만원 설계용역 중지
경산지식산단 10,465백만원 공사 중
청주일반산단 28,819백만원 설계 중
청주현도일반산단 6,970백만원 설계용역 중지
청주 오송생명과학단지 41,627백만원 설계용역 발주중
청주 오창제2산단 12,100백만원 설계용역 발주중
청주 옥산산단 19,285백만원 설계용역 발주중
완충저류시설의 이해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입니다.  유입: 유해물질이 유입되는 지점입니다. 독성감지장치 (TOC, OI, EC 등): 유입된 물질의 독성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입니다. 정상 상태일 때 배류: 독성 감지 결과 정상 상태일 경우, 물질이 배출됩니다. 완충저류시설: 독성이 감지될 경우, 물질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처리 시설로 연계하거나 위탁 처리합니다.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사업개요
가축분뇨의 처리 과정과 그 효과를 보여줍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축분뇨 처리 과정: 축산농가의 가축분뇨는 수거 및 운반을 거쳐 공공처리 시설에서 처리된 후, 처리수를 방류하거나 재활용하여 공공수역의 수질을 개선합니다. 가축분뇨 처리 유형: 가축분뇨는 주로 퇴비화(81.1%)와 액비화(7.7%)를 통해 자원화되며, 공공처리(6.7%) 및 정화시설(4.3%)을 통한 처리도 이루어집니다. 수질 개선 효과: 가축분뇨(양돈) 처리 전후의 수질을 비교했을 때, BOD, COD, SS, T-N, T-P 등 모든 항목에서 처리 후 방류수질이 현저히 개선됩니다. 예를 들어, BOD는 처리 전 30,000mg/L에서 처리 후 30mg/L로 크게 감소합니다.
사업현황
정책지원
  • 가축분뇨관리기본계획(가축분뇨법 시행령 제3조)
  • 가축분뇨처리시설 설치사업 재원협의(가축분뇨법 시행규칙 제19조의2)
  • 가축분뇨처리시설 설치타당성조사 검토
  • 설치사업 국고정산, 관련 법령ㆍ지침 개정 지원 및 기술컨설팅 등
설치사업
  • 가축분뇨처리시설 위ㆍ수탁 설치사업(3건 수행 중)
가축분뇨처리시설 위ㆍ수탁 설치사업(4건 수행 중)의 사업명, 사업비, 추진현황 정보를 제공합니다.
사업명 사업비 추진현황
평택가축 14,868백만원 설계예정
상주가축 12,800백만원 설계예정
청도가축 24,000백만원 설계중
가축 분뇨 처리 시설의 종류와 설치 지역을 설명합니다. 환경순환형 처리시설: 가축 분뇨의 자원화를 위해 퇴액비화 시설을 설치하며, 보령, 청도, 상주, 평택에 위치합니다. 기타(정화처리시설): 가축 분뇨 직접 처리를 통해 공공수역의 수질을 보전하며, 연천, 진천, 경주, 가평, 봉화에 위치합니다.
환경순환형 처리시설이란?
  • (배경) 가축분뇨 관리 선진화 종합대책('12년, 환경부)에 따라 가축분뇨 지원화시설 확대 설치 추진
  • (개념) 가축분뇨를 원료로 바이오가스 및 퇴액비를 자연 환원하여, '식물생장ㆍ먹이활동-배설ㆍ지원'의 환경순환적 처리체계 구축
  • (유형) 퇴액비화, 바이오가스화, 고체연료화 등

담당부서 안내

담당부서 안내 : 관할지역, 담당부서, 담당부서 연락처 내용이 포함된 표
관할지역 담당부서 담당부서 연락처
총괄

본사 환경시설본부
수생태시설처 수생태설계부

032-590-4510
경기, 강원 수도권동부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3부
031-776-5230
인천, 경기 수도권서부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2부
02-3153-0664, 0668
부산, 울산, 경남 부산울산경남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051-366-3803
대구, 경북 대구경북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053-280-3898
대전, 충남, 충북 충청권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5부
042-939-2354
광주, 전남, 전북, 제주 광주전남제주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2부
062-949-0794
  • 담당부서 : 비점시설검사부
  • 담당자 : 황지현
  • 연락처 : 032-590-5250

최종수정일 : 2024-03-1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평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