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지하수 관리
지하수 오염지역 조사관리
-
- 지하수 오염 취약지역 적극적 치유 및 예방
- 오염된 지하수는 대수층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고, 해당지점에서의 오염뿐만 아니라 실제 오염범위는 상당히 광범위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지하수 오염지역 정밀조사 및 관리사업은 오염물질 초과율이 높거나 위해도 높은 지역에 대해 지하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 원인규명을 통해서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오염저감대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세부내용


-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 측정망 수질변화 추세 정기파악
- 오염지역 지하수 정밀조사
- 지하수 오염현황 파악 및 오염원인 규명
- 사후 관리방안 마련
- 확산방지방안 등 오염물질 저감대책 마련
- 저감대책 시행
- 오염지역 정화 및 저감 실시
정밀조사 결과 예시
-
오염현황 파악
※조사지역내 공간적 오염분포도 작성 -
자연저감특성 평가
※오염물질 구성비율 평가를 통한 자연저감특성 파악 -
오염원인 규명
※안전동위원소 분석 등 환경수사기법 적용을 통한 오염원인 평가 -
지하수 확산범위 평가
※지하수 모델링을 통한 지하수 오염확산 예측
지하수 오염관리 방안 예시
-
신규 지하수 개발
※지질·광물을 참고하여 오염되지 않은 인근 지역에 신규관정을 설치하여 공급 -
투수성반응벽체법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지하수만 흐르게 하여 확산방지 유도하는 방법 -
양수처리법
※오염된 지하수를 양수정을 통해 지상으로 끌어올린 후 처리 -
지중탈질처리법
※환원환경을 이용한 질산성질소 탈질화 과정
기대효과
- 지속적 정말조사 추진을 통한 국가지하수 오염부지 목록 구축
- → 우선관리 시급지역 발굴
- 도출된 관리방안 현장적용을 통한 지하수오염 저감 유도
- 오염 정화등 지하수 치유사업 활성화 기틀 마련
- 지하수 수질 청정성과 지하수 이용 안정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