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지하수 관리
지하수측정망 설치·운영
-
- 자연이 만든 깨끗한 지하수 지하수환경관리부가 실천합니다!
- 공단에서 관리하고 있는 국가지하수오염측정망은 대규모 오염원으로부터 수위·수질 현황 및 변화추세를 파악하여 지하수 오염과 확산 모니터링을 통해 지하수의 수질 보전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수행 근거
- 지하수법 제 17조(지하수의 관측 및 조사 등)
- 지하수법 제18조(수질오염의 측정)
-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제9조(수질측정망 설치계획의 수립·고시)
사업 내용
설치


- 설치지점 자료조사
- 설치후보군 선정
- 후보지 우선순위 선정
- 전기비저항탐사
- 시추 및 암석광물 조사
- 공내영상 촬영
- 굴착 및 케이싱 설치
- 필터팩 및 차수재 설치
- 측정말 설치완료
운영
<시료채취 및 분석>
-
시료채취
-
수질변화파악
-
수질상태평가
<유지관리>
-
노후시설 유지보수
-
관정청소
지하수측정망 설치 현황
설치유형 | 2019 | 2020 | 2030 | 구성내용 |
---|---|---|---|---|
지하수측정망 (배경, 오염) | 361 | 140 | 중장기 계획 수립중 | 대규모 오염원 (산업단지, 폐광산 등) |
하천-지하수 측정망 | 15개보(240개소) | 16개보(256개소) | - | 16개보 256개소 측정망 설치 |
- 국가지하수오염측정망 : 대규모 오염원으로부터의 수위·수질영향 파악
- 하천-지하수 측정망 : 하천수 수위·수질 변화로 인한 주변지역 지하수 수질영향 파악
(‘20년 설치 완료 및 운영 지속) - 2019. 07. 물관리일원화로 지하수분야 기능조정(오염: 공단, 배경: 수자원공사)
기대효과
- 수질현황 파악
- 지질·심도별, 시기별 특성분석
- 지하수 오염원 감시
- 수질자료 축적
- 수질상태평가 및 관리등급 분류체계 적용
- 연구자료, 수질정책 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 수질신뢰도 제고
- 지하수 생활용수 수질항목 등 41개 항목 측정
- 신규 오염물질 추가조사 확대
- 타기관과 협력 체계 구성
- 지역지하수 측정망 시설 개선 및 기술지원
운영체계 (향후구축예정)


지하수수질전용측정망 운영체계 : 국가지하수수질측정망과 지역지하수수질측정망을 통한 자료를 토양지하수 종합정보관리시스템에 입력하여 인터넷을 통해 행정기관, 관련기관, 일반인·연구자가 확인, 입력, 조회할 수 있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