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소개
- 환경안전지원업무
- 소음·진동 측정망 운영·관리
소음·진동 측정망 운영·관리
국가소음정보시스템 http://www.noiseinfo.or.kr
운영목적
- 최근 국민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정온한 환경에 대한 욕구증가로 소음ㆍ진동 민원이 큰 폭으로 증가
- 전국의 지역별 소음실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자료를 확보하여 소음 저감정책에 활용하기 위함
- 수행근거
- 소음 · 진동관리법 제3조 (상시측정)
- 환경부장관은 전국적인 소음 · 진동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정망을 설치하고 상시 측정하여야 한다. - 소음 · 진동관리법 시행령 제14조 (업무의 위탁)
- 환경부장관은 법 제54조제2항에 따라 법 제3조제1항에 따른 소음ㆍ진동의 측정망 설치 및 상시(常時) 측정에 관한 업무를 「한국환경공단법」에 따른 한국환경공단에 위탁한다.
사업내용
- 자동측정망 운영 · 관리
- 환경소음자동측정기기 유지관리 및 측정데이터 분석 (14개도시 62개지점)
- 항공기소음자동측정기기 유지관리 및 측정데이터 분석 (14개공항 90개지점)
- 수동측정망 운영 · 관리
- 환경소음측정망 반기별 측정 및 측정데이터 분석(605개지점)
- 철도소음측정망 반기별 측정 및 측정데이터 분석(35개지점)
- 진동측정망 반기별 측정 및 측정데이터 분석(34개지점)
- 국가소음정보시스템(http://www.noiseinfo.or.kr) 및 관제시스템 운영관리
추진현황
- ‘06.12 : 서울 등 5개도시 17개지점 환경소음자동측정망 구축 완료
- ‘07.12 : 서울 등 10개도시 45개지점 환경소음자동측정망 구축 완료
- ‘08.12 : 대국민홈페이지 국가소음정보시스템 구축
- ‘09.02 : 소음진동규제법 시행령 개정(제14조 업무의 위탁 신설)에 따라 유역지방환경청에서 수행중이던 소음 · 진동측정망 업무이관
- ‘10.12 : 전국 소음진동측정망(826개) 통합운영관리
- ‘11.01 : 자동측정기기 이상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 및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측정망 운영 · 관리 업무를 권역별 지역본부로 이관
- '16.12 : 환경소음수동측정망(국가) 측정주기 및 측정지점 개편(환경부고시제2016-245호)
- 측정주기 : 분기별 1회에서 반기별 1회로 변경
- 측정지점 : 121개 지역 605개 지점 중 48개 지역 57개 지점 변경
사업체계
기관별 업무
기관명 |
환경부 |
국립환경과학원 |
지자체 |
한국환경공단 |
---|---|---|---|---|
주요 수행 업무 |
- 총괄 - 관련법 제정 - 데이터 공표 - 예산 확보 |
- 측정망 운영기술표준화 - 측정자료분석ㆍ평가 |
- 지방측정망구축ㆍ운영 - 자체 운영계획수립 |
- 소음진동측정망구축ㆍ운영 - 시설장비 유지관리 |
수행체계
- 환경부 생활환경과
- 소음/진동 측정망 운영 총괄
- 소음/진동관리법 제정
- 소음/진동 측정데이터 공표
- 소음/진동측정망 예산확보
- 시도
- 환경소음방지측정망 운영
- 한국환경공단
- 소음/진동 중앙측정망 운영 관리 (자동, 수동,이동)
- 통합관제시스템 및 국가소음 정보시스템 운영관리
- 소음/진동측정망 측정자료 1차확정
- 소음/진동측정망 설계/설치확대 구축
- 소음/진동측정망 설치이전/폐지 시 타당성 조사
- 소음/진동측정망 측정지점 적정성 검토
- 소음/진동측정망 측정자료 관리
- 국립환경과학원
- 소음/진동측정기술의 개발 및 표준화
- 측정지점의 적합성 평가 및 측정기기 정도평가
- 소음/진동측정망 측정자료 최종확정
- 측정자료 분석 및 평가
소음진동측정망 운영현황
구분 | 자동 | 수동 | |||
---|---|---|---|---|---|
환경소음 | 항공기소음 | 환경소음 | 철도소음 | 진동 | |
측정지점수 | 14개 도시 62개 지점 |
14개 공항 90개 지점 |
14개 도시 605개 지점 |
5개 지역 35개 지점 |
6개 도시 34개 지점 |
측정주기 | 상시 (반기1회 보고) |
상시 (분기1회 보고) |
반기 1회 | 반기 1회 | 반기 1회 |
측정횟수 | 지점당 5분간 6회 측정 (심야시간 포함) |
지점당 1시간 3회 측정 (심야시간 포함) |
지점당 5분간 3회 측정 (심야시간 포함) |
- 담당자 : 화학시설검사부 이서영
- 전화 : 042-939-2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