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소개
- 환경시설 설치지원업무
- 비점오염저감사업
비점오염저감사업
사업개요
비점(非點)오염원의 정의
- 평상시 고농도로 지표면에 축정되어 있는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강우 시 불특정장소에서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을 말함



사업효과
- 물의 자연순환 복원
- 강우 유출량 저감으로 강우 시 지하수함량이 증가하여 수질개선 및 지하수 고갈 해소, 온실가스 저감, 열섬현황 완화로기후변화 적응수단으로 저영향개발기법(LID)활용
사업현황
주요사업
-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사업
- LID시설의 여과, 침투 기능에 의한 수질개선
- 유출수가 토양 속으로 침투하여 지하수 함양 증가
- 식생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흡수
- 식생의 증발산 및 태양광 반사에 의한 열섬현상 완화
- 식생 식재에 따른 녹지면적 증가 → 경관개선, 온실가스 저감
※ 물순환 선도도시의 정의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 확대로 홍수, 하천 건천화 등 물순환 문제가 가중된 도시를 저영향개발(LID) 기법을 적용하여 물순환 건전성을 회복하는 도시
- 저영향개발(LID) 기술요소를 적용한 빗물유출제로화 시범사업
- 식생체류지, 나무여과상자 등 저영향개발기법적용으로 도시의 왜곡된 물순환 문제 회복 및 도심생태환경개선 → 강우 시 홍수 및 수질악화에 사전대비하고, 가뭄 시 하천 건천화 등 물순환 왜곡 해소
※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의 정의 : 주거지, 상업지역, 산업지역 등 개발지역에서 자연 상태의 수문특성과 유사하도록 기존지역의 특성을 최대한 보전, 이용하는 개발방법.
- 비점오염물질 이동경로 및 부하율 산정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강우에 의해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의 실측자료 확보 및 추세 파악
- 비점오염물질 정량화, 유출특성 파악을 통해 정책수립 기초자료 확보
- 과학적 비점오염원 관리의 기반 마련
비점오염저감계획 검토기관 및 비점오염원 설치신고서 기술검토
- 「물환경보전법」에 의한 비점오염저감계획 및 저감시설의 설치 적정성에 대한 기술검토기관으로 관련 기술검토 수행
비점오염원관리 홍보사이트 운영
- 비점오염원관리 홍보사이트(nonpoint.me.go.kr)를 통해 비점오염 관련 최신 소식 및 자료 제공
비점오염저감사업 시범시설 설치 사례
-
논산시 연무읍양지리(인공습지)
-
용인시 삼계리(침투도랑)
-
용인시 왕산리(여과형시설)
위·수탁 사업현황
사업명 | 사업비(백만원) | 사업기간 | 추진현황 |
---|---|---|---|
정선군 골지천유역 비점오염저감사업 |
7,600 | '16 ~ '20 | 공사중 (수도권동부지역본부) |
부천시 굴포천 초기우수처리시설 설치사업 |
17,469 | '16 ~ '21 | 공사중 (수도권서부환경본부) |
대전광역시 물순환 선도도시 시범사업 |
28,000 | '17~'21 | 공사중 (충청권환경본부) |
김해시 물순환 선도도시 시범사업 |
15,000 | '17~'21 | 공사중 (부산울산경남환경본부) |
남원시 고랭경작지 흙탕물저감사업 |
5,000 | '16~'21 | 공사중 (호남권환경본부) |
부천시 굴포천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사업 |
42,000 | `18 ~ `23 | 기본 및 실시설계 |
홍천군 자운지구 흙탕물 발생원 최적관리사업 |
7,044 | `20 ~ `22 | 기본 및 실시설계 |
국가 비점오염물질측정망 설치·운영관리
<수계별 측정소 설치·운영 현황> (단위 : 개소)
기존 | 합계 | 중권역 | 소권역 |
---|---|---|---|
합계 | 31 | 6 | 25 |
한강 | 11 | 2 | 9 |
낙동강 | 8 | 1 | 7 |
금강 | 10 | 2 | 8 |
영산강 | 2 | 1 | 1 |
<측정망 측정항목>
구분 | 조사주기 | 조사항목 | |
---|---|---|---|
자동측정 | 실시간(1시간 간격) |
수온, pH, DO, EC, 탁도 (중권역 추가) T-N, T-P, TOC |
|
수동분석 |
평상시 |
36회 이상/년(평균 8일) | BOD, SS, T-N, T-P, TOC |
강우시 |
12회 이상/이벤트(2시간 이내 간격) |
BOD, SS, T-N, T-P, TOC |
담당부서 안내
관할지역 | 담당부서 | 담당부서 연락처 | 비고 |
---|---|---|---|
총괄 | 본사 환경시설본부 수생태시설처 수생태설계부 |
032-590-4510 | |
총괄 | 본사 환경시설본부 수생태시설처 수생태비점사업부 |
032-590-4491,7 | |
총괄 | 본사 물환경본부 물관리선진화처 비점시설검사부 |
032-590-5243 | 비점오염원 설치신고서 |
인천,경기 | 수도권서부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
02-3153-0666, 0668 | |
경기, 강원 | 수도권동부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
031-776-5230 | |
부산, 울산, 경남 | 부산울산경남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2부 |
051-366-3803 | |
대구, 경북 | 대구경북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2부 |
053-280-3894 | |
충남, 충북 | 충청권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1부 |
042-939-2354 | |
광주, 전남, 전북, 제주 | 광주전남제주환경본부 환경시설관리처 시설사업2부 |
062-949-0794 |
- 담당자 : 시설사업2부 정찬희
- 전화 : 042-939-2354
- 담당자 : 시설사업2부 장현정
- 전화 : 042-939-2353